2025년 기준 청년 월세 보조금 조건 신청 방법을 알아보세요.
청년 월세지원금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1인가구가 1000만가구에 달하고, 요즘은 전세생활에 어려움이 많아 월세를 선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물론, 여유가 된다면 보조금에 크게 관심이 없을 수도 있지만, 조금이라도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청년임대료 지원제도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청년임대료 지원 조건과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2025년 기준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청년월세지원금은 무엇인가요? (2025년 기준)
청년임대료 지원은 주택이 없는 청년들의 월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시행하는 주거비 지원 정책이다.
월 임대료 기준으로 최대 24개월간 최대 20만원을 지원해 드립니다.
따라서 이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최대 48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월세 금액이 2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임대계약서에 명시된 월세 금액만큼 지원을 받게 되지만, 월세 금액이 20만원 미만인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월세가 비싼 곳은 부담이 꽤 크며, 특히 사회에 처음 입문하는 분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소득 기준이나 지역에 따라 신청 자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혜택을 받으려면 해당 정책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월세 보조금 조건
이러한 정책은 청년들에게만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우선 연령요건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주택이 없는 청년에게 적용된다.
예외적으로 30세 이상에 결혼 또는 이혼한 미혼 부모의 경우 미혼 청년의 소득은 30세 미만은 중위소득의 50% 이상이다.
생계가 달라 인정되는 경우에는 원 가구소득은 제외됩니다.
소득조건에는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이고, 원래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이 포함된다.
물론 이는 부모님과 독립하여 사는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중위소득 60%가 얼마인지 모르시겠지만, 2025년 기준으로 1,435,208원 입니다.
원가구 중위소득 100%의 경우 본인을 제외한 두 부모 모두 3,932,658원으로 다소 빡빡한 기준이다.
이런 정책은 저소득층을 위한 정책이기 때문에 너무 빡빡하게 설정됐다고 생각합니다.
청년 월세지원금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직접 신청 시에는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
대리인이 신청한 경우에도 월세는 본인 계좌로 지불됩니다.
대리신청시에는 위임장과 대표자 신분증이 필요하므로 방문 시 꼭 지참하여 헛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지원은 복보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선정기준
이런 정책이 시행되면 지원자가 이렇게 많아지나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신청하고 계십니다.
이에 따라 청년월세지원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평가소득은 기준 중위소득의 60% 미만, 자동차를 포함한 총자산이 1억 2200만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합니다.
이는 당초 가구 소득과 자산이 기준 중위소득 100% 미만, 자동차를 포함해 4억7천만원 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
공공임대주택을 신청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겠지만, 신청자가 많고 모든 조건을 충족한다면 소득이나 자산이 낮은 쪽이 유리하다.
마치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청년 월세지원 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아직 사회에 입문하지 않으신 분들이나 이러한 혜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의 신청마감일은 2월 25일까지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자격요건을 잘 확인하신 후 혜택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